러시아에서 돈벌기

러시아 소비자 특성

미운아빠 2018. 8. 24. 17:21

러시아는 체제 전환 이후 주요 산업 붕괴로 소비재의 43%를 해외에서 수입하고 있다한편 2000년대 초부터 에너지자원 수출을 기반으로 경제가 급속히 발전해, 이에 따른 일반 소비자들의 구매력 역시 상승해 2017 러시아 관세청 기준 2,275 달러에 달하는 수입 시장을 형성했다이는 2000년 수입액인 338.8억 달러와 비교해 약 6.7 증가한 규모이다.

 

한편, 2014년 크림반도 사태로 발생한 서방국가들과의 갈등 등으로 러시아 경제는 침쳬기를 겪어왔다. 이러한 서방국가들의 경제제재 조치에 대응하는 방법으로 러시아 정부는 제조업 집중 육성 정책을 펼쳐왔다. 이러한 제조업 육성의 지속을 통해 2017년부터 러시아 경기의 회복이 확연해졌다고 평가되며, 2018년 경제 성장률 또한 1.0~2.0%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기계 설비, 플랜트 등 자본재에 대한 수요 역시 증가하고 있다.

 

소비자 특성

 

2001년 이후부터 소수의 부유층과 다수의 빈곤층이라는 이중 구조를 벗어나 중산층이 꾸준히 형성돼, 최근 이들이 시장의 주요 소비층을 형성하고 있다러시아 보험회사 Rosgosstrakh사의 보고서에서 중산층을 연소득 5만 달러 이상으로 정의하는 경우이들은 러시아 전체 인구의 25%를 차지한다. Rosgosstrakh사는 이들 중산층이 삶의 편의를 위해 상품과 서비스를 제약 없이 구매한다고 평가했지만, 이들은 기존 러시아 소비자들이 가격에 민감했던 모습에서 벗어나 품질과 브랜드의 가치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특징이 있으므로, 이에 맞는 우리 기업들의 마케팅 전략과 상품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러시아인의 높은 가처분 소득

 

Credit Swiss사에 따르면, 연간소득 2 4천 달러의 모스크바 중간관리자의 실질가처분 소득은 10,000달러로 미국의 연소득 60,000달러의 근로자의 실질가처분 소득 7,000달러보다 높은 것으로 평가

저렴한 공공요금(전기수도 등), 높은 주택 보급률 및 탈루 소득(일반 직장인)

이권 개입과 뇌물수뢰(공무원등으로 실질가처분 소득 높음

 

모스크바 집중 현상

 

수도 모스크바와 인근 모스크바 주를 포함한 인구는 약 2,000만 명으로 추산되며, 이는 전체 러시아 인구의 15%를 차지한다모스크바는 러시아 경제의 중심으로 유통소비재식품제조업 등이 잘 발달해 있으며 러시아에 진출한 외국기업과 러시아 회사의 본사가 모두 소재해 있어, 모스크바는 러시아 경제의 메카이자 최대 시장이라 할 수 있다.

Kotra발췌